[Terminology] Situation Awareness에 대해 알아보자
·
Research
Situation Awareness(상황 인식)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개인이나 시스템이 주어진 상황에서 중요한 정보를 수집, 이해, 그리고 예측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항공, 군사, 의료, 운송, HCI(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같은 분야에서 의사결정과 행동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Situation Awareness의 정의 1995년 Endsley는 상황 인식을 세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다.Level 1 - Perception (지각):현재 상황에서 중요한 요소를 감지하고 식별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조종사가 비행기의 속도, 고도, 기상 정보를 읽는 과정에 해당한다.Level 2 - Comprehension (이해):감지한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
[Terminology] 체계적 문헌 고찰, PRISMA에 대해 알아보자
·
Research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는 체계적 문헌 리뷰와 메타 분석의 투명성과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개발된 보고 지침이다. PRISMA는 연구자가 체계적 리뷰를 계획, 수행, 보고할 때 일관되고 명확한 방식을 제공하여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재현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PRISMA의 주요 요소체계적 리뷰 과정PRISMA는 체계적 문헌 리뷰와 메타 분석의 각 단계를 구조화된 방식으로 수행하고 보고하도록 설계되었다. 주요 단계문헌 검색: 연구 대상 문헌을 체계적으로 수집선정 기준: 포함/제외 기준을 명확히 정의데이터 추출: 선택된 문헌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추출결과 보고: 리뷰 결과를 체계..
인간공학에서 AI는 어떻게 쓰일까? - ML, XAI, CV, LLM
·
Research
인공지능의 성장속도는 어마무시하게 빠르다.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어제의 신기술은 오늘의 구식 기술이 돼버린다. 그런데 결국 이를 실제로 사용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가장 크게 와닿는 것은 무엇인가? 당신은 AI라 하면 뭐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가? 그것은 바로 챗봇이다. 그중 ChatGPT가 제일 먼저 생각날 테고, 조금 배운 사람은 Llama나 Gemini 정도를 언급할 것이다. ChatGPT가 등장한 후로부터 2년이 갓 지난 시점인 지금, 아직 짧은 기간밖에 안 됐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AI는 아직 그 무궁무진한 가능성만 운운하며 실제 사람들에게는 크게 와닿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활용 방안의 부족 서두에 말했듯 AI 기술 자체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이를 ..
[Terminology] XAI에 대해 알아보자 -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
Research
XAI(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는 말 그대로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을 뜻한다. 인공지능의 결과나 행동에 대해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설명을 제공하는 기술 및 접근법을 모두 포괄하는, HCI와 인간공학에서 연구되는 분야이다.Background 전통적인 머신러닝의 방법론에서 깊은 인공신경망 (DNN), 합성곱 신경망 (CNN), 시계열 분석, 그리고 거대 언어 모델 (LLM)에 이르기까지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성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초반의 통계적인 방법론에 의한 기계 학습 기법과 대비되게, 좀 더 발전된 형태의 딥러닝 모델들은 그들의 의사 결정과 행동의 인과를 알 수 없는 블랙박스적 특징을 한계로 지니고 있다. 그들이 어떤 의사 결정을 하는 것..
[Terminology] Modality에 대해 알아보자 - Modality, Multimodal
·
Research
모달리티라는 개념은 AI 분야에서 ChatGPT-4부터 가능해진 멀티모달이란 용어가 등장하면서 유명해진 것 같지만, 사실 HCI나 인간공학 분야에서 오래토록 연구되어 왔던 주제들에서 핵심 키워드에 해당한다. 멀티모달이라고 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input이 가능하다는 단편적인 의미로만 쓰이는 것 같고, 좀 더 포괄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 같아 정리해보려 한다. 다시 돌아가서, 그렇다면 modality는 input인가? 겹치는 부분이 있을 수야 있겠지만 동치는 아니다.모달리티 (Modality)인간의 감각, 행동, 또는 의사소통 방법을 나타내는 용어로, 특정한 종류의 정보를 처리하거나 표현하는 방식 모달리티는 단순히 입력 방식(input) 이상의 개념으로, 정보의 전달 방법과 표현 방식을 포함한..
[HFE] Introduction to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
Research
인간공학 연구자들은 제품이나 시스템을 개선하여 사용자를 만족시키면 궁극적으로 이들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인간에 대한 면밀한 이해와 분석이 필요하고, 인간의 needs를 세심하게 파악해 새롭고 창의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인간공학의 정의 사람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여 작업 및 근로 환경을 사람들에게 적합하게 만들고, 조화를 이루도록 만드는데 필요한 과학적 지식을 제공하는 학문제품, 서비스, 그리고 정보를 사회기술시스템 안에서 인간중심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공학 인간 활동의 최적화를 통해 인간이 가장 자연스럽게 일하는 방법을 찾는다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고려하여 제품, 서비스를 설계한다인간에 적합하도록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