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master branch를 main branch로 변경하기
·
etc
깃허브를 초반에 사용했었을 때에는 master 브랜치를 루트 브랜치로 사용하곤 했다. 그래서 그게 표준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어느샌가 main 브랜치로 바뀌었더라. 별로 중요하지 않아서 안 바꿔줘도 되지만 여러 Repo와의 통일성과 나름의 강박으로 인해 바꾸려 한다. 해당 상황은 원격 브랜치도 master, 로컬 브랜치도 master인 경우를 가정한다. git branch# if not in master branch, thengit checkout master 먼저 현재 브랜치를 확인한다. 만약 master 브랜치가 아니라면, master 브랜치로 이동해 준다. git branch -m master main 이어서 master 브랜치를 -m 옵션을 통해 main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변경해 준다. git ..
[GitHub] 깃허브 기여하기 - Fork, Pull Request(PR)
·
etc
GitHub의 Fork는 다른 사용자의 공개 저장소(Repository)를 복제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가져오는 기능이다. 주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거나 원본 코드를 활용해 독립적인 프로젝트를 만들 때 사용한다. Fork는 단순히 복사본을 만드는 것뿐 아니라 원본 저장소와 연결되어 있어 협업에도 유리하다. Fork의 주요 목적과 특징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원본 저장소에서 직접 권한을 받지 않아도, 자신의 Fork에서 수정한 후 Pull Request를 통해 코드 변경 사항을 제안할 수 있음독립적인 개발기존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새로운 방향으로 개발할 수 있음예를 들어 UI를 커스터마이징하거나 기능을 확장하는 데 활용됨Fork와 원본 저장소의 연동Fork한 저장소를 계속해서 업..
[GitHub] 깃허브 시작하기 - Repository 생성
·
etc
Git에 대한 이해는 충분하나, 매번 레포를 생성할 때마다 혹시 몰라 찾아 보는 게 귀찮아서 아예 작성을 한다. 원격 레포지토리 생성깃허브에 로그인하고, New repository를 만든다. Description은 그냥 보조 설명. 써두면 남들이 보기에 편하다. 원격 레포지토리에서 README.md, .gitignore을 미리 추가하고 clone하여 시작하는 방법도 있지만, 나는 로컬 레포지토리를 먼저 생성하고 로컬에서 해당 파일을 만들어 준 후에 원격 레포지토리와 연결할 예정이다. 로컬 레포지토리 생성 후 연결1. 레포지토리를 위한 디렉토리 생성 후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mkdir ai-basics-pytorchcd ai-basics-pytorch2. git 초기화(생성)git init3. README...
[OS] - Thread 스레드에 대해 알아보자
·
etc
Thread?- A single unique execution context- Mechanism for concurrency (동시성) + can also run in parallel (병렬성)- Protection (보호) → 쓰레드 간 자원 접근을 제어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 MTAO (multiple things at once)- 운영 시스템은 프로세스, 인터럽트, 백그라운드 시스템 유지 등 다양한 것들을 한 번에 핸들링할 수 있어야 함- 네트워크 서버, 병렬 프로그램, UI를 지닌 프로그램, 그리고 network/disk bound 프로그램도 마찬가지→ 이러한 것들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Thread스레드는 동시성의 유닛이고, 각각의 쓰레드는 하나 혹은 한 태스크를 표현할 수 있..
[GitHub] MacOS 업데이트 후 Git 에러가 발생할 때 (xcrun: error)
·
etc
맥이 업데이트되고 나서는 항상 git을 다룰 때 xcrun: error가 발생합니다. 뭔가 항상 빠진 듯 .. 터미널을 실행하고 해당 명령어를 통해 명령어 라인 개발자 도구를 설치해주면 끝. xcode-select --install